week3_2019_5
*공지사항 고용량및 기타화일은 네이버의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수강생들이 모두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
id: petra2019
pw:petra2019!!!
콘텐츠의 제작 실습1
에프터이펙 실무에서는 주로 영문버젼을 사용 한다.
에펙에 내장되어 있는 기본효과들중에 CC시작되는 효과들은 한글버젼에서는 지원이 되지 않고 명령어로 효과를 내는 표현식이기 때문에 예) loopOut(“pingpong”) 영문버젼을 설치하는 것이 효용이 높다.
한글 버젼이 불편한 이유는 특정 효과를 글을 읽고 이해하기가 어렵기때문이다.
예) Trim path > 패스 다듬어 자르기. 탬플릿들은 주로 영문버젼으로 제작이 많이 되는데 영문과 한글이 호환이 안되어서 오류가 생길 수 있다.
유투브에서 오디오 라이브러리 음악 저장하는 방법
https://www.youtube.com/audiolibrary/music
오디오 라이브러리
예) 음원
1. https://www.youtube.com/results?search_query=bts
2. ss를 youtube.com/results?search_query=btsdkv앞에쓰고
3. https://www. ss youtube.com/results?search_query=bts 엔터
4. 3선클릭
- 에프터 이펙트
- Ramp
- 4 > 4-color Gradient
Logo (dafont.com에서 logo download & Install)> .ai or .eps 파일Liner Key frame 복사하기 실습Lens > Lens Flare -
Graph Editor( 단축키 기능키 f9)
-
Trim Comp To Work Area (바에서 마우스 우클릭 )
-
Keylight– 초록색 배경영상 합성, 크로마키 합성
그린(Green Screen) 배경영상을 준비하고 keylight를 주고 색상 스포이드를 먼저 찍고 컴포지션 패널의 그린색을 클릭해서 배경색을 추출한다.[Chroma Key] SpongeBob’s Nose Play – Green Screen - ColorBalance > Color Balance(HLS) > Hue
꼭 알아야할 기본패널!
프로젝트(Project) 패널: 편집할 영상과 그래픽이나 사운드 파일을 가져와서 보관하는 장소
타임 라인(Timeline)패널: 레이어 키프레임이 형성되고 타임인디케이터로 모션을주는곳
컴포지션(Composition)패널: 모니터에 해당 하는 곳
이펙트 프리셋(Effect &Preset)패널 : 효과와 프리셋이 들어있는 패널
이펙프 컨트롤(Effect &Contol)패널: 효과를 넣었을때 적용된 효과의 세부 메뉴가 뜨는 패널
* 패널이 많으므로 쓰지 않는 패널은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지울 수 있다.
레이어의 순위: 레이어의 순위 중 더 위에 있는 레이어가 화면의 가장 앞에 보여지게 된다.
레이어의 위치에 길이: 레이어가 화면에 노출이 되는 시간은 레이어의 색상막대의 길이로 지정한다.
*******일러스트레이터*******
예시파일: 일러스트 파일 (cool), 팬툴패스(pen tool path 4.5.6 _ cat mask)
벡터와 비트맵의 차이
벡터 방식은 점과 점을 연결함으로써 수학적 함수관계에 의해 이미지를 표현하여 선과 면을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선이 두껫값과 색상 값, 곡률값을 갖거나 면이 색상 값을 가지면서 이런 점, 선, 면의 요소들이 모여 그래픽을 만들된다.
벡터의 점은 좌표계(x,y)로 구성되기 때문에 비트맵의 픽셀과 달리 이미지의 크기 조절이나 변형 때문에 해상도가 깨지지 않는다. 돋보기로 봐야 할 만큼 크기를 줄이고, 건물 외벽에 붙일 만큼 크기를 키워도 깨짐현상이 없다. 그래서 벡터 방식은 이곳, 저곳, 여기, 저기 적용하는 부분이 많아, 크기조절이 자유로워야 하는 로고나 여러 포인트로 조정되어야 하는 서체, 다양한 크기로 여러 곳에 응용되어야 하는 캐릭터 등을 제작할 때 사용한다.그리고 픽셀로 구성되는 비트맵보다 용량이 현저히 적기 때문에 파일을 관리하기도 편리하다.
비트맵은 ‘비트의 지도'(map of bits)라는 뜻으로, 각 픽셀에 저장된 비트 정보가 집합된 것이다. 1240 x 960 사이즈의 이미지가 있다면 1240 x 960 = 1,190,400개의 픽셀이 한 픽셀, 한 픽셀 각각 다른 색상정보 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기 다른 픽셀 1,190,400개가 조합이 되었을 때, 비로소 우리가 눈으로 보는 하나의 이미지가 되는 것이다.
비트맵은 벡터와 다르게 픽셀의 점 하나하나가 이미지를 이루는 요소이기 때문에 벡터보다 정교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픽셀의 수가 많아질수록 화질은 뛰어나지만, 용량 또한 커지게 되고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축소하면 기존 이루고 있던 픽셀의 수가 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깨짐 현상과 이미지 품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벡터 방식의 장점과 단점
장점.자유롭게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해상도에 영향받지 않는다. 용량이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단점.사진이나 이미지처럼 정교한 그래픽 표현에는 한계가 있다.
비트맵방식의 장점과 단점
장점.많은 픽셀로 정교하고 다양한 색상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단점.이미지를 확대하고 축소할 수는 있으나, 깨짐 현상과 이미지 품질이 저하된다.
그래픽 요소들을 만들 때는 벡터 방식(일러스트레이터)의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사진과 같은 이미지를 제작할 때는 비트맵 방식(포토샵)으로 제작합니다. 이 두 방식의 차이를 알고 계시면, 자신이 작업할 때 해당 작업물에 적합한 방식으로 작업하시기에 편하다.
CMYK 감산혼합(Cyan Magenta Yellow and (Black)Key 減算混合)은 명도가 낮아지게 하는 혼합을 말한다. 마젠타, 사이언, 노랑, 검정을 원색으로 한다.
예를 들면, 마젠타와 시안을 혼합하면 명도가 낮은 파랑이 된다. 이 방법으로는 하양을 제외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으며, 수채화, 컬러 사진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필름을 소부(현상)해서 인쇄하는 오프셋 인쇄에 사용되기 때문에, 쿼크익스프레스,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에서는 CMYK 모드를 지원한다. RGB나 HSB(HSV)보다 표현 가능한 색이 적다. 이를테면 보라색을 들 수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CMYK_감산혼합)
RGB 가산혼합(RGB 加算混合)은 빛의 삼원색을 이용하여 색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종류의 광원(光源)을 이용하여 색을 혼합하며 색을 섞을수록 밝아지기 때문에 ‘가산혼합’이라고 한다. 디지털 이미지에서 사용되는 RGB 가산혼합의 종류로는 sRGB, 어도비 RGB 등이 있다. (https://ko.wikipedia.org/wiki/RGB_가산혼합)
최근 댓글